주정부의 실직수당 지급은 차후 고용주의 납세액의 증가와 연관되기에 때로 고용주가 해고가 고용인의 잘못에 기한 것이라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. 따라서 고용인이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misconduct를 범했는가가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.
1. misconduct 로 인정되는 않는 행위의 예
고용주의 기대에 못미치는 업무실적
한 차례의 직무상의 과실
업무외의 행위
2. misconduct 의 예
의도적인 고용주에 대한 불복종
빈번한 결근, 지각
고객에 대한 불손한 태도
부정직한 행위
약물 복용
해고된 고용인이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misconduct를 범했는가 여부는 고용주에게 입증책임이 있다.
Subscribe to:
Post Comments (Atom)
No comments:
Post a Comment